| 국민연금이란?
국민연금은 보험원리에 따라 운영되는 대표적인 사회보험제도입니다.
가입자, 사용자로부터 정률의 보험료를 받고 이를 재원으로 소득이 중단되거나 상실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급여를 제공하여 국민의 생활안전과 복지증진을 도모하는 제도입니다.
-
국민연금법 제8조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이면 가입 대상
-
근로자를 1명 이상 고용하는 모든 사업장은 의무 가입 대상
-
2020년 국민연금요율 기준월소득액의 근로자 4.5% 사업주 4.5%
Q. 전업주부도 가입대상인가요?
A. 가입대상은 아니나 소득이 있는 경우 가입 대상
하지만 소득이 없더라도 본인이 희망하면 임의가입자로 지역가입자의 중위수 소득 이상에 해당하는 연금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음
| 국민연금의 종류
노령연금 - 노령으로 인한 근로소득 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연금
유족연금 - 주소득자의 사망에 따른 소득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연금
장애연금 - 질병 또는 사고로 인한 장기근로 능력 상실에 따른 소득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연금
|노령연금 수급 개시 연령
연금보험료의 납부 기간이 10년 이상이면 60세 (조기노령연금 55세) 이후부터 평생 매월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
출처 : 국민연금관리공단
| 조기노령연금
가입 기간이 10년 이상이고 55세 이상인 사람이 소득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은 경우에 본인이 신청하면 60세(수급개시연령) 전이라도 지급받을 수 있는 연금입니다.
가입 기간 및 처음 연금 받는 연령에 따라 일정률*의 기본 연금액에 부양가족 연금액을 합산하여 지급받게 됩니다.
*일정률 : 55세 70%, 56세 76%, 57세 82%, 58세 88%, 59세 94% 지급(55세 수급연령 개시 기준)
-
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하여 지급받다가 60세(수급개시연령) 전에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할 경우 소득이 있는 기간 동안 연금 지급은 정지됩니다.
-
조기 노령연금을 받고 있는 지급 연령 미만인 사람이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금 지급의 정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| 2018년 국민연금 4차 재정 추계결과
국민연금법 제 4조에 의거하여 국민연금 재정 전망 및 제도발전방안을 위해 5년마다 시행
1차 2003년, 2차 2008년, 3차 2013년, 4차 2018년
-
앞으로 20여 년간은 제도가 미성숙한 단계에서 성숙한 단계로 접어드는 과정에 있게 되므로 지출보다 수입이 많은 구조를 유지
-
그러나 점차 지출이 증가함에 따라 2030년도부터는 당년도 지출이 보험료 수입을 상회하게 되고, 2042년에는 지출이 총수입(보험료수입+기금투자수익)을 상회하게 되어 당년도 수지 적자가 발생
-
2041년에 최고 1,778조원에 이르고 이후 급속히 감소하여 2057년에 소진되는 것으로 나타남
출처 : 국민연금연구원 자료실 2018_국민연금_재정계산_보고서_1. 요약본.pdf
https://institute.nps.or.kr/jsppage/research/resources/resources_09.jsp
| 국민연금 소득대체율
소득대체율이 40%라 함은 40년 동안 가입한 국민연금 평균소득자의 수급 직전
연도의 월 소득이 200만원이라고 하였을 때, 월 기본연금액이 200만원의 40%인 80만원이 되는 것입니다.
| 국민연금 개편안은?
2018년 11월 문재인 대통령은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국민연금제도 개선안을 다시 짜도록 했습니다. 보험료율 12~15%인상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인데요.
1998년 6%에서 9%로 오른 보험료율은 20년 넘게 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.
국민연금 개혁은 2020년 21대 국회로 넘어가게 되었고 개혁이 늦어질수록 미래세대의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
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
국민연금 가입자수가 전체 국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9년 42.9% 에서 2060년 27.3% 떨어지고
수급자 비중은 9.4%에서 37.8% 급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.
가입자 100명이 부담할 연금수급자는 올해 18명에서 2060년에는 121.7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.
국민연금 재정 고갈 시점인 2057년은 제가 만 66세 나이입니다.
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국민연금 또한 미래 세대가 짊어져야할 짐이 점점 더 커지고 있는데요.
고령화 진행에 따라 국민연금 수금개시연령도 더 늦춰질 거라고 하는데
열심히 내고도 돌아오는 혜택이 없을 것 같아 걱정이고 노후대비에 대해 다른 대책을 준비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.
'[세상을 향한 돋보기] > 이슈 돋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과속 단속 조회 방법 및 과태료 50% 감경받는 법 (0) | 2020.04.06 |
---|---|
국선변호사 비용 선임 조건 총정리 (0) | 2020.04.04 |
펜데믹 뜻, WHO 펜데믹 선언 (0) | 2020.03.28 |
레게노 뜻 이거였어?ㅋ (0) | 2020.03.25 |
2020년 총선일 & 2020 총선 사전투표 안내 및 확진자 투표방법 (0) | 2020.03.24 |
댓글